해당 게시글은 BDA학회 10기'딥러닝의 이해'를 수강하고 복습하며 정리한 내용입니다. 퍼셉트론이란 ?딥러닝의 핵심은 퍼셉트론을 제대로 이해하는 것에서 시작됩니다.인공신경망은 인간의 뇌 신경망 구조와 유사한 방식으로 동작합니다.해당 이미지에선 인공신경망의 기본 구조는 아니지만, 다수의 신호를 받아 하나의 출력을 생성하는 예시를 보여줍니다. 1. x1의 신호가 들어오고, w1이라는 가중치가 들어오면서 출력 y 값에 기여한다. (여기서 w는 weight를 의미)2. 복수의 입력치(x1, x2, .... xn)와 각각의 가중치(w1, w2, .... wn)가 곱해져 y 값이 된다. 3. y 값 자체가 특정 임계값(θ, 세타)보다 크거나 같으면 활성화 되어 출력이 발생하고, 작으면 성능이 다운된다. 1과 가..
안녕하세요 ptyhon 크롤링을 위한 CSS 선택자 2편입니다.선택자 연습은 아래 사이트에서 지원해주고 있습니다. https://flukeout.github.io/ CSS DinerA fun game to help you learn and practice CSS selectors.flukeout.github.io 힌트도 제공되지만 저는 되도록 힌트를 보지 않고 하는 방식으로 연습을 했습니다.level1 ~ level16은 아래 블로그에 작성되어있습니다.https://ryudain.tistory.com/46 Python 크롤링을 위한 CSS 선택자 연습 [level1 ~ level16]안녕하세요 ptyhon 크롤링을 위해가장 먼저 잊고 살았던 CSS선택자 연습을 진행하고자 합니다.선택자 연습은 아래 사이..
서론기존의 단잠을 마이그레이션하는 도중에 중복코드가 너무 많은 것 같아 수정 중이었습니다.중복코드를 줄이려고 이것저것 고치다보니 제가 작성하고 있는 게 DDD 기법과 유사한 듯 하여 글을 작성하게되었습니다.(해당 포스팅에서는 Repository단에서의 DDD만을 설명합니다.) 본론제가 작성한 코드가 DDD 기법의 Repository Pattern을 지니게 과정을 보여드리겠습니다.하지만 DDD를 완벽하게 준수하진 않습니다. 기존코드@Service@Transactional(readOnly = true)@RequiredArgsConstructorpublic class MyProfileInfoService { @MethodDescription(description = "사용자의 학교 정보를 수정합니다.")..
안녕하세요 ptyhon 크롤링을 위해가장 먼저 잊고 살았던 CSS선택자 연습을 진행하고자 합니다.선택자 연습은 아래 사이트에서 지원해주고 있습니다. https://flukeout.github.io/ CSS DinerA fun game to help you learn and practice CSS selectors.flukeout.github.io 힌트도 제공되지만 저는 되도록 힌트를 보지 않고 하는 방식으로 연습을 했습니다. Level 1모든 plate 선택하기plate Level 2모든 bento box 선택하기bento Level 3id가 fancy인 plate 선택id 선택자 # 사용#fancy Level 4plate 하위 apple 선택하위 선택자 > 사용plate > apple Level 5id..
Hibernate가 JTA(Java Transaction API) 플랫폼을 찾지 못하여서 발생하는 문제입니다... yml에 spring: jpa: properties: hibernate: transaction: jta: platform: org.hibernate.service.jta.JtaPlatform 를 추가하여 해결하였습니다
서론안녕하세요 프로젝트 개발 중에 있어서 생성자에 관한 걸 찾아보다가올바른 @Builder 사용방법이라는 블로그 글을 우연하게 보았는 데요.그간 저의 개발 방식이 잘못되진 않았나? 라는 생각에 블로그를 작성하게 되었습니다. JPA 관련 포스팅은 아래 2가지를 먼저 참고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JPA 사용 시 Entity단에서 @NoArgsConstructor(access = AccessLevel.protected) 로 설정하는 이유https://ryudain.tistory.com/42 [Spring Boot] JPA 사용 시 Entity단에서 @NoArgsConstructor(access = AccessLevel.protected) 로 설정하는 이유본 포스팅은 김영한 실전 ! 스프링 데이터 JPA 학습 ..
서론이전 단잠의 데이터 베이스 표기법은 카멜케이스(camel case)였다.회사 인턴을 하면서 회사 프로젝트에서는 스네이크케이스(snake case)를사용하였는 데 이에 따라 데이터 베이스 표기법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본론일단 앞서 얘기한 것처럼 마이그레이션을 진행하기 전에 단잠은 Spring단과 데이터베이스단 모두 카멜케이스를 사용하였다.하지만 인턴을 하면서 회사 프로젝트를 진행했을땐 Spring 단에서는 카멜케이스를, 데이터 베이스 단에서는 스네이크 케이스를 사용하였다. 왜 그렇게 사용하였을 까? 첫째. SQL의 대소문자 구분 문제 회피많은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에서는 대소문자를 크게 구분 짓지 않습니다. 이에 1차적으로 문제를 회피할 수 있는 방식이 스네이크 방식입니다.예를 들어, username..
본 포스팅은 김영한 실전 ! 스프링 데이터 JPA 학습 후복습 및 정리를 위해 작성되었습니다. 💭서론캡스톤에서도 JPA를 사용했는 데 해당 내용을 이제서야 학습하다니... 반성하고 있습니다,..지금 생각해보니 해당 강의도 캡스톤 돈으로 긁은 강의네요 그래도 좋은 점은 프로젝트를 끝내고 강의를 들으면서이해가 더 잘되는 부분들이 꽤 많기 때문에 강의 듣는 내내 너무 재미가 있는 거 같습니다. Querydsl 를 공부하기 전에 JPA부터 제대로 공부하자 ! 라는 생각으로 강의를 듣고 있는 건데 강의를 들으면 들을 수록 JPA를 더 공부해야겠다는 생각만 늘고 있습니다 ......... 아무튼 본론으로 넘어가겠습니다. 💭 본론🤔 JPA는 왜 기본 생성자가 필요할까? JPA 는 데이터베이스에서 데이터를 조..